- [제228호, 7월 4일]
외환보유 1조6822억달러
핫머니 1조7542억 달러
세계 최고의 외환보유액을 자랑하는 중국도 외환위..
[제228호, 7월 4일]
외환보유 1조6822억달러
핫머니 1조7542억 달러
세계 최고의 외환보유액을 자랑하는 중국도 외환위기 안전국이 아니라는 주장이 중국에서 제기됐다.
중국사회과학원의 세계경제정치연구소 장밍 (張明) 박사는 최근 사회과학원 홈페이지에 올린 보고서에서 올해 3월 말 현재 중국에 유입된 핫머니(단기 유동성 자금)는 1조7542억 달러로 3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1조6821억7700만 달러)보다도 4.3%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 혔다.
중국에 유입된 핫머니가 외환보유액 규모를 넘어선다는 주장은 이번에 처음 제기됐다. 중국 정부는 앞서 지난해 1200억 달러의 핫머니가 유입됐으며, 올해는 1분기(1∼3월)에만 850억 달러가 추가로 들어와 연말까지 유입되는 핫머니의 규모가 지난해의 3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핫머니 추정 규모가 크게 늘어난 이유는 2003년 이후 올해 1분기까지 들어온 1조2032억 달러의 핫머니에 이 돈을 굴려 얻은 이익금 5510억 달러를 합해 '핫머니'로 추산했기 때문이다.
장 박사는 "이같이 막대한 규모의 핫머니가 갑자기 빠져나갈 경우 중국 경제는 막대한 피해를 볼 수 있다"며 "이런 가능성이 큰 것은 아니지만 이를 예방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중국의 증시와 부동산이 끝없이 추락하는 이유도 바로 주식과 부동산에 몰렸던 핫머니가 일제히 빠져나갔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러나 장 박사는 "외국의 핫머니가 중국을 빠져나간 것은 아니며 올해 급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위안화 가치의 상승 효과와 이자 소득을 노리고 은행과 민간 기업으로 옮겨갔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올해 이자 소득과 위안화 가치 상승으로 인한 차익만 원금의 1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중국 언론들도 핫머니의 부작용을 집중 보도하고 있어 앞으로 핫머니로 추정되는 외국 돈에 대한 중국 정부의 감시와 통제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