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07호, 1월 25일]
일본 기업들이 여성 인력의 확보를 위해 파격적인 육아지원책을 쓰고 있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에다 출생률 감..
[제207호, 1월 25일]
일본 기업들이 여성 인력의 확보를 위해 파격적인 육아지원책을 쓰고 있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에다 출생률 감소까지 겹친 상황에서 여성 노동력의 비중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일과 생활의 안정을 통해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다.
정부 차원에서도 지난해 12월 ‘일과 생활의 조화’를 위한 지침을 마련, 기업에 여성 인력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정부는 첫째 자녀를 출산한 이후 계속 일하는 여성 비율을 현재 38%에서 10년 뒤인 2017년까지 55%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화장품 회사인 시세이도는 지난해 4월부터 백화점 등 점포에서 일하는 미용직 사원이 육아를 위해 퇴근할 때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3∼4시간만 일하는 대체 요원을 채용, 전국 점포에 배치했다. 혜택을 보는 사원들은 “눈치를 보지 않고 빨리 퇴근할 수 있어 좋다.”고 평가하고 있다.
종합상사인 이토추상사는 지난해 11월부터 만3세의 유아를 키우는 여성 사원을 대상으로 하루 90분씩 근무 시간을 단축해주던 제도를 초등학교 재학생을 둔 사원으로 범위를 확대했다. 이토추상사는 “세계적인 경쟁을 위해서는 다양한 인재들이 활약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도쿄전력은 지난해 4월부터 자유근무시간제 적용대상 사업장이 아닌 경우에도 육아 등의 사유가 있을 땐 ‘특별 자유근무시간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했다.
다이와증권그룹은 지난해 7월부터 초등학교 3년 이하의 어린이를 둔 여성 사원에 대해 잔업을 제외시켰다. 종합섬유회사인 테이진그룹은 지난 2006년 남성 사원들의 육아를 적극 촉진,2005년 단 한명도 없던 남성 육아휴직이 43명으로 늘었다.
스미토모전기공업은 오는 4월부터 출산과 육아 등으로 퇴직한 여성을 재고용하는 제도를 시행할 방침이다.
일본 경제단체연합회 측은 “변화와 리듬이 있는 근무가 가능해지면 기업의 생산성뿐만 아니라 사원 만족도도 높아질 것”이며 기업에 사업소내 보육원 정비 등 여성이 출산 이후에도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토록 권고하고 있다.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