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홍콩의 교육과 국제학교 7 - 교육과정(라. 교수 언어와 ESL프로그램 )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07-06-07 12:25:36
기사수정
  • [제177호, 6월8일] 라. 교수 언어(Language of Instruction) 와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프로그..
[제177호, 6월8일]

라. 교수 언어(Language of Instruction) 와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프로그램

  홍콩 국제학교들의 교수 언어는 영어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제학교들이 각 국의 언어를 교수 언어로 허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프랑스 국제학교는 프랑스어와 영어를 교수 언어로 하고 있으며 독일·스위스 국제학교도 독일어와 영어를 교수 언어로 하고 있다.  한국국제학교도 한국어과정은 교수 언어가 한국어이지만 영어과정은 교수 언어가 영어다.

  홍콩이 영국에 반환된 이후 대부분 국제학교에서 중국어(보통화)를 가르치고 있다.  대부분의 홍콩 사람들은 광동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중국의 표준어인 보통화를 간자체와 함께 더 많이 가르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보통화 강세가 점점 높아져 보통화와 영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이중 언어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들이 증가하고 있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들이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국제학교에 들어가면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다.  어떤 국제학교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은 학생들 중 영어실력이 부족한 학생에게 ESL 프로그램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ESL 프로그램은 학생 전출입이 잦은 학교에서 대부분 운영되고 있다.  영어만 유창하게 말한다고 해서 영어로 수업하는 교과를 잘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교수 언어 장애가 학습효과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다.  어떤 국제학교에서는 담임교사가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영어실력을 직접 길러주는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가르치는가 하면 ESL 전문가가 학급담임 교사와 함께 협동수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최근 ESL 프로그램은 주제중심 교육(Thematic Teaching)으로 영어 자체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주제를 정하여 지식도 가르치면서 영어도 가르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ESL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이 증가하는 이유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홍콩 거주 외국인들이 늘어나기도 하지만 홍콩의 일부 학부모들이 영어교육 때문에 자녀들을 국제학교에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은 학생들은 ESL 프로그램을 잘 운영하는 학교를 선택하여 학교 적응력을 기른 후 영어 실력이 늘어나면 보다 더 좋은 학교로 옮기도 한다.

  이와 같은 학생들의 수요에 부응하여 홍콩의 어떤 국제학교는 홍콩에 처음 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ESL 프로그램을 홍보하면서 자기 학교에서 영어실력을 길러 보다 좋은 학교로 가도록 하는 이른바 학생 모집에 디딤돌 정책을 쓰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캐나다 델리아 학교다.  이 학교는 한국인과 일본인 그리고 대만인 주재원들이 비교적 많이 사는 홍콩섬 타이쿠싱에 캠퍼스가 있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ESL 프로그램을 이수토록하여 대상 학생이 영어를 잘 하면 다른 국제학교의 전·편입 정보를 안내해 주기도 한다.


<이 내용은 지난 2월 한국으로 귀임한 KIS 김석수 교장선생님이 발간한 '홍콩의 교육과 국제학교' 책자에서 발췌 했음.>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