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6일 오후 3시, 당신은 나와 함께 했어. 당신 덕분에 난 그 1분을 기억할 거야. 너와 나는 1분을 같이 했어, 나는 이 1분을 지울 수도 없어. 그건 이미 과거가 되어버렸으니까."
잘생겼는데 성격은 나쁜 남자 vs 못생겼는데 다정한 남자. 희대의 밸런스 게임이다. <아비정전>을 보고 처음 든 생각은 아비는 전자에 해당한다는 것이었다. 너무나도 평범할 수밖에 없는 1분을 평생토록 잊지 못하게 만든 나쁜 남자, 아비. 영화를 다 보고 나면 왜 그가 그런 성격을 갖게 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지만, 그러한 내막을 모르는 장만옥(수리진 역)의 입장에서는 그저 나쁜 놈일 뿐이다.
아비정전은 '아비의 일대기'를 뜻하는 직관적인 이름답게, 아비가 어떤 인물인지 파헤쳐 나간다. 그가 어떤 인물인지 파악해가는 과정 중에서 장만옥에게 잊지 못할 1분을 선사한 것은 왕가위 감독의 천재적인 연출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잊지 못할 1분을 선사한 것과 별개로, 그는 이유도 모른 채 차갑게 식어버리기에. 그럼에도 이러한 연출을 택한 것은 아비라는 인물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이었다고 생각한다. 그가 어떤 인물인지, 외로움도 많고 세상에 느끼는 슬픈 감정들도 많은 설명을 덧붙이며 이후에 그가 어떤 선택을 하는지 보여주듯 말이다. 그런 그가 자기 자신을 지칭하는 문장이 있다.
"세상에 발 없는 새가 있다더군. 늘 날아다니다 지치면 바람 속에서 쉰대. 평생 딱 한 번 땅에 내려앉는데 그건 바로 죽을 때지."
아비는 스스로를 발 없는 새로 지칭한다. 그리고 그가 이렇게 스스로를 지칭하는 데에는 그의 '뿌리'를 찾고자 하는 욕구가 담겨 있다. 그의 진짜 엄마를 찾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는데, 그렇게 그는 진짜 엄마를 찾아 필리핀으로 떠난다. 그리고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 진짜 엄마를 등지고, 걸어간다. 다시는 엄마를 찾아오지 않을 것이라는 다짐과 함께. 그리고 술에 취해 길거리를 헤매다 유덕화가 구해주고, 이내 조직원에게 칼에 찔려 죽는다. 평생을 발 없는 새처럼 방황하다 결국은 죽는 것으로 아비의 삶은 마무리된다.
이 줄거리가 말해주듯 아비정전에 나오는 인물들은 대체로 외롭다. 엄마를 찾아 떠난 아비 외에 등장하는 사람들까지도. 아비를 사랑하지만 사랑받을 수 없는 장만옥, 그리고 유가령. 장만옥을 바라보는 유덕화와 유가령을 바라보는 장학우까지. 사랑의 화살표는 일방향이지만 그 누구도 이어지지 못한 뒷모습의 잔상에 더 마음이 아려온다. 유독 인물들의 뒷모습이 많이 비춰졌던 연출도 비슷한 이유 아니었을까 싶다. 그러한 씁쓸한 뒷모습들이 이 영화를 쓸쓸한 분위기로 기억하는 데 힘을 주기도 했고.
아비정전의 특별한 하이라이트는 아무래도 마지막 장면인 것 같은데, 양조위가 등장하지만 흥행 저조로 2편을 찍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너무나도 아쉽게 들렸다. 지금 시기에 아비정전이 넷플릭스로 나오게 된다면, 2편을 기대할 수밖에 없는 멋진 장면이지 않았을까. 왕가위가 2편을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풀어갔을지가 더더욱 궁금한 시점이다.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더 애틋하고, 궁금하게 그려지기도 하고.
발 없는 새, 아비는 결국 죽어서 어디로 갔을까? 우리는 이 세상에서 무엇을 좇다 생을 마감하면 좋을까? 인생을 떠올리면 ‘부질없음’을 떠올리는 나에게 인생에 대한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해준 영화였다. 물질적으로는 풍요로워도, 내면은 시종일관 공허했던 장국영의 연기가 가장 인상적이었지만, 다른 인물들의 감정 연기도 기억에 깊게 남는다. 앞으로 남은 인생을 보내다 형용할 수 없는 공허한 감정을 느낄 때, 이 영화를 꺼내볼 것 같다.
By 김수진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