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국공안과의 합동 단속 효과, 홍콩에서 검거되는 불법 이민자 수 감소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7-12-14 14:49:59
  • 수정 2017-12-21 18:48:44
기사수정
  • 주로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출신인 837명 정도의 불법 이민자들이 홍콩 경찰에 검거, 그 비율은 2015년에 비해 75% 정도 감소.
홍콩 및 중국본토 경찰당국은 2년 전과 비교하여 금년에 체포된 비중국계 불법 이민자들의 숫자에 대한 지난 목요일(7일) 발표했다. 수치가 무려 75%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경 간 밀입국 문제에 있어 처음으로 승리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60%나 감소한 837명의 비중국계 불법 이민자들이 홍콩경찰에 의해 체포되었다.

지난 2015년, 평균적으로 한 달간 약 300명 정도의 불법 이민자들이 홍콩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들은 이전에 정부가 거짓 주장으로 시스템을 불법이민자들이 남용한다고 발표했음에도 여전히 자국의 고문을 피해 망명을 희망하거나, 혹은 일자리를 찾으러 오는 남아시아인들이었다.

이러한 이민자들이 홍콩 및 본토로 유입됨에 따라 2년 전 광시성족자치구(廣西省), 광동성(廣東省) 및 윈난성(雲南省)을 관할하는 시 공안국과 공안부 국경경비대인 중국변검(中國邊俭)이 공동 작전을 개시하도록 촉진하였다.

홍콩-중국 양측 국경경비대 간 심천(深圳市)에서 열린 회의에 참가한 존 리(John Lee) 홍콩 보안부장관은 21개월 간 중국-홍콩 간 공동 작전으로 인한 밀입국자 감소가 “좋은 추세” 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홍콩 보안부가 긴밀히 지켜보고 있는 문제를 강조했다; 그것은 더 많은 수의 비중국계 불법이민자들이 더욱 중한 범죄에 연루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들 중 대부분이 중국계 마피아 삼합회(Triad, 三合會) 활동이나 폭력 등의 강력 범죄로 인해 체포되었다.

회의 후 중국 공안부(公安部) 변경통제국(中國邊俭)장인 인쳥준(Yin Cheng Jun)국장은 3개 성의 중국본토 경찰들이 국경을 넘나드는 밀입국자 검거를 위해 지난 21개월 간 총 6만 7천 6백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본토에서 홍콩으로 입국하려는 3,400건의 사례 중 5%를 차지한 293건이다.
홍콩경찰 기동대가 성수이(上水, Sheung Shui)의 한 야산에서 산악수색을 벌이고 있다.
홍콩경찰 기동대가 성수이(上水, Sheung Shui)의 한 야산에서 산악수색을 벌이고 있다.
 
중국본토에서 체포된 사람들은 대부분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국가 국적자들 및 베트남인들이었다.

중국공안은 그들이 또한 50개 이상의 신디케이트를 와해했다고 덧붙였다.
인 국장은 밀입국 알선조직이 밀입국을 위해 “원스톱(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는 “잘 조직된” 조직이라고 밝혔다. 홍콩의 밀입국 브로커는 계획 및 지시를 담당했으며,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조직원들은 불법이민자들을 모집하여 중국본토 지도부가 마련한 물류운송계획에 따라서 길을 떠난다.

일반적으로 인도, 파키스탄인들은 중국 광저우(廣州)로 항공편으로 입국 후 선전을 거쳐 홍콩으로 해상 밀입국을 시도, 란타우(Lantau) 섬이나 툰문(Tun Mun) 등으로 간다. 중국은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이용 시 환승객들의 편의를 위해 24시간 무비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SCMP는 전했다. 중국-홍콩 양측의 사법공조는 밀입국 브로커 및 범법자들을 목표로 삼아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밀입국은 아직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라고 인 국장은 말했다. 리(Li) 보안장관은 양측이 2019년 7월까지 합동작전을 하기로 합의하였다고 덧붙였다.
밀입국 지도. 인도/파키스탄인들은 대게 입국이 수월한 광저우 국제공항으로 입국 후 선전을 거쳐 홍콩 해상으로 들어오고 베트남인들은 광시좡족자치구를 통해 육로로 입국한다.
밀입국 지도. 인도/파키스탄인들은 대게 입국이 수월한 광저우 국제공항으로 입국 후 선전을 거쳐 홍콩 해상으로 들어오고 베트남인들은 광시좡족자치구를 통해 육로로 입국한다.
 

“우리는 밀입국 브로커들을 계속 단속하고, 정보를 교환하며 브로커들이 밀입국을 위해 채택한 “전술”에 관한 정보교환을 계속하기로 동의 했습니다” 라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