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깨알 상식: 애프터눈 티(Afternoon Tea) 문화 영국의 식민지 중 하나였던 홍콩엔 곳곳에 영국 문화가 아직까지도 어느정도 스며든걸 발견 할 수 있습..
홍콩 깨알 상식: 애프터눈 티(Afternoon Tea) 문화
영국의 식민지 중 하나였던 홍콩엔 곳곳에 영국 문화가 아직까지도 어느정도 스며든걸 발견 할 수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애프터눈 티(afternoon tea)인데요, 이는점심과 저녁사이의 허기를 채울 수 있도록 간단한 다과와 차를 마시는 문화입니다.
중국에서도 차는 대중적인 음료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음을 잘들 아실거라 생각 합니다. 홍콩 또한 옛부터 중국으로부터의 영향으로 인해 차에 대한 문화가 있었으나 후에 영국의 지배를 거치며 영국의 애프터눈 티 문화를 접목시킨 홍콩만의 독특한 차 문화를 이루어 냈습니다.
약 19세기경, 찻집이 처음 홍콩에 들어섰을 당시엔 사람들은 직접 찻집에서 찻잎을 구매하여 직접 차를 다려 마셨습니다. 이른 아침부터 차를 다려 오후에 손님을 대접하는 용도로 쓰이고 저녁에는 남은 양과 상관없이 차를 모두 버렸다고들 합니다. 한때 손님을 대접하는 용으로만 쓰이던 차는 오늘날 손님 뿐 아니라 본인을 위해서도 소비가 되고 있습니다.
홍콩하면 관광지들의 현란한 밤문화와 야식등을 떠올리기 쉬운데, 그와 상반되게 홍콩에는 이른 아침 식사문화 또한 존재합니다.
이른 아침 출근길에 오르는 직장인들을 위해 많은 식당들이 이른 아침 6시정도부터 차와 간단한 아침식사 거리를 제공합니다. 사람들은 차와 딤섬등 가벼운 식사를 즐기며 신문을 읽거나 시간을 떼우는 광경을 쉽게 마주할 수 있습니다.
물론 차를 즐기지 않으시는 분들도 많으시겠지만, 이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이유는 몇몇 식당들은 이른 아침 뿐 아니라 점심과 저녁시간 사이엔 밥이 아닌 차와 간단한 간식거리 밖에 팔지 않는 시간이 있으니 유의 하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소개드립니다. 물론 차를 즐기시는 분들께서는 홍콩에 제대로 된 애프터눈 티를 즐기실 수 있는 식당 및 심지어는 애프터눈 티 뷔페도 있으니 시도해 보시길 바랍니다.
서바이벌 광동어- 식당 편
pt. 1 식사에 관한 간단한 여담
홍콩에 있다보면 역시 비지니스 적으로나 사적으로 홍콩 친구와 함께 시간을 보내게 되는데요. 식사에 관련된 간단한 대화들, 함께 알아봅시다
언제한번 밥 한끼 함께 하시죠
下次一齊食餐飯
haa(6) ci(3) jat(1) cai(4) sik(6) can(1) faan(6)
하치 얏차이 섹 찬판
밥은 드셨어요?
你食左飯未?
sik(6) zo(2) faan(6) mei(6)?
섹 조 판 메이?
이따가 같이 밥이나 한끼 먹으러 갈까요?
你一間想唔想一齊食飯?
Nei(5) jat(1) gaan(1) soeng(2) ng(4) soeng(2) jat(1) cai(4) sik(6) faan(6)?
네이 얏 깐 셍 음 셍 얏 차이 섹 판?
오늘은 ~가 땡기네요
我今日想食~
ngo(5) gam(1) jat(6) soeng(2) sik(6)~
오 깜 얏 셍 섹 ~
pt. 2 식당에서—현지인 따라잡기
홍콩에선 의외로 영어가 안통하는 식당들이 많은데요, 간단한 말조차 통하지 않아 답답한 순간들이 많습니다. 홍콩에 거주중이신 분들은 물론, 여행객분들 또한 센스있는 광동어로 “현지인 따라잡기”를 시도해 봅시다~
저기요 (종업원을 부를때)
侍應唔該 / 唔該
si(6) jing(3) ng(4) goi(1) / ng(4) goi(1)
씨 잉 음 꺼이 / 음 꺼이
저쪽 테이블로 옮길 수 있을까요?我地可唔可以轉佢果張枱?
ngo(5) dei(6) ho(2) ng(4) ho(2) ji(5) zyun(2) keoi(5) gwo(2) zoeng(1) toi(4)?
오 데이 호 음 호 이 쮠 커이 궈 쭹 토이?
혹시 사진이 있는 메뉴도 있나요?
請問你有冇有圖既餐牌
cing(2) man(6) nei(5) jau(5) mou(5) jau(5) tou(4) gei(3) caan(1) paai(4)?
쳉 만 네이 야우 모우 야우 토우 게이 찬 파이?
이거랑 이거 두개 주세요.
我想要依兩樣
ngo(5) soeng(2) jiu(3) ji(1) loeng(5) joeng(6)
오 셍 유 이 롱 옝
많이 매운가요?
辣唔辣?
laat(6) ng(4) laat(6)?
랏 음 랏?
찬물좀 주실 수 있으신가요?
我可唔可以要杯凍水嗎?
ngo(5) ho(2) ng(4) ho(2) ji(5) jiu(3) bui(1) dung(3) seoi(2) maa(3)?
오 호 음 호 이 유 뿌이 떵 숴이 마?
화장실이 어딘가요?洗手間係邊?
Sai(2) sau(2) gaan(1) hai(6) bin(1)?
사이 사우 깐 하이 삔?
이 접시들좀 치워 주시겠어요?可唔可以幫我收左啲碟嗎?
ho(2) ng(4) ho(2) ji(5) bong(1) ngo(5) sau(1) zo(2) Di(1) dip(6) maa(3)?
호 음 호 이 뽕 오 싸우 조 디 딥 마?
음식 나오려면 아직인가요?
請問啲食物得未?
cing(2) man(6) di(1) sik(6) mat(6) dak(1) mei(6)?
칭 만 디 섹 맛 닥 메이?
같은걸로 하나만 더 주세요
我想要多一碟
ngo(5) soeng(2) jiu(3) do(1) jat(1) dip(6)
오 셍 유 또 얏 딥
계산 좀 해주세요
賣單, 唔該
maai(6) daan(1), ng(4) goi(1)
마이 딴, 음 꼬이
살아가면서 그곳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 그보다 더 값진 일은 찾기 힘들거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홍콩 깨알 상식”이라는 주제로 홍콩에 대한 문화를 함께 배워 나가는 유익한 자리를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작성: 최승재 인턴기자, devinchoisj@gmail.com>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