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잦아든 홍콩 시위 열기…6가지 ‘경우의 수’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4-10-09 17:23:36
  • 수정 2014-10-09 17:23:52
기사수정
  • 렁 장관 퇴진이 시위대엔 ‘최상’…전면 충돌 돌변땐 최악 시나리오 홍콩 정부가 학생 시위대와 대화에 나서기로 하면서 민주화 시위 열기가 다소 잦아든 가운데, 안개..
렁 장관 퇴진이 시위대엔 ‘최상’…전면 충돌 돌변땐 최악 시나리오

홍콩 정부가 학생 시위대와 대화에 나서기로 하면서 민주화 시위 열기가 다소 잦아든 가운데, 안개 속에 빠진 홍콩의 미래에 대해 여러 예측들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홍콩 시민들의 ‘시민불복종’ 운동에 경각심을 가진 중국 중앙정부가 감시기능을 강화할 것이란 암울한 전망도 나오는 한편, 2017년 행정장관 선거까지 렁춘잉(梁振英) 행정장관의 사퇴를 포함한 시위대의 요구안 전면수용부터 군사적 충돌이란 최악의 사태까지 다양한 시나리오가 예상되고 있다.

▶중국 중앙정부, 감시기능 강화할까=홍콩 민주화 시위를 주도한 학생시위대를 비롯, 홍콩 시민들은 이번 민주화 운동이 중국 중앙정부에 자신들의 목소리를 전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자 기사에서 시위를 주도한 ‘센트럴을 점령하라’ 지도부 대다수는 중국 정부의 사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공산당에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홍콩 정부가 시민들과 진심어린 협상을 진행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시위로 가장 경계심을 갖게된 것은 다름아닌 중국 정부다. 수십만 인파가 사실상 중국 정부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면서 정부는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인터넷 검열 수위를 높이는 등 단속에 나섰다. 때문에 이번 시위 이후 홍콩에 대한 감시기능이 강화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지난 2003년 국가보안법 제정을 반대한 대규모 시위 이후 홍콩의 언론 자유가 퇴보했다는 평가가 이같은 예측에 힘을 싣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인용한 국경없는기자회 자료에서 올해 홍콩의 언론 자유 순위는 세계 61위에 머물렀다. 지난 2002년만 해도 18위 였으나 순위가 급락해 지난해엔 58위까지 추락했다. 이와 관련 국경없는기자회는 “중국이 경제적인 힘을 이용해 홍콩 미디어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WSJ이 소식통을 통해 전한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양대 안보기관인 국가안전부와 공안은 이번 시위 발생 이후 홍콩에 대규모의 요원을 파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시위를 모니터링하고 이곳의 관련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 시위 그 후, 6가지 시나리오는=이번 홍콩 민주화 시위와 관련해 FT는 홍콩 사태의 향후 전망을 6가지로 정리했다.

홍콩 시민들이 가장 바라는 시나리오는 렁 장관의 퇴진, 2017년 행정장관 선거방식 개선 논의를 비롯한 요구안이 모두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7일 대학학생회 연합체인 홍콩전상학생연회(香港專上學生聯會) 지도부와 예비 접촉을 하고 10일 캐리 람(林鄭月娥) 정무사장(총리격)과 학생 대표 간 첫 공식 대화가 있을 예정이다. 그러나 정부-시위대 간 입장차가 커 성사는 미지수다. FT는 중국과 홍콩 정부가 이같은 옵션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반대로 홍콩 정부가 가장 바라는 시나리오는 피로에 지친 시위대의 자진해산이다. 정부는 시위대의 요구안을 조금만 받아들이거나 무시하면서 지연전을 펼치고 이에 지친 시위대가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해산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위대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고 해도 아직 열성 시위대가 남아있어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가장 최악의 경우는 군사적인 충돌이다. 시위대 해산에 실패한 홍콩 정부가 중국에 군사 요청을 하는 시나리오로, 그동안 줄곧 입에 오르내린 지난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가 재현되는 것이다. 양 측 모두 바라지 않는 시나리오다.

FT는 홍콩 당국의 경찰 사용도 가정해봤다. 진압경찰의 시위대 강제 진압을 통해 수백 명의 시위대를 체포하고 마무리짓는다는 것이다.

이밖에 렁 장관의 퇴진으로 마무리되는 시위대의 부분적인 승리도 예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선거방식 개선 논의는 유야무야 넘어갈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선거방식 개선은 협상대상이 아니며 렁 장관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있다는 것이 변수다.

양 측이 타협하는 방안도 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