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존 창 재정사장은 부동산 거품 붕괴 위험이 계속 높아지면 또다시 안정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文匯報
홍콩 주택 가격 상승세가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고 오피스 빌딩 가격까지 들썩이는 가운데 홍콩정부는 또다시 새로운 부동산 대책을 기습적으로 발표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4개월 만에 또다시 부동산 억제 칼날을 빼든 홍콩정부는 200만홍콩달러 이상 주택 및 비주택 매매 인지세를 4.25%에서 최고 8.5%로 인상했다.
특히 상업용 건물의 가격 인상 광풍을 잠재우기 위해 담보대출 상한을 50%에서 40%로 낮추었다.
최초 부동산 구입자나 기존의 부동산을 팔고 다른 부동산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세율에서 면제된다.
예고도 없이 새로운 정부 대책이 발표된 22일 부동산 개발업체와, 중개업체, 부동산 구입 예정자들은 큰 혼란에 빠졌다.
새로운 부동산 대책이 발효되기 전 매매를 완료하기 위해 서두르거나 할인을 통해 계약을 작성하기도 했지만 투자자들의 50%는 시장에서 빠져나와 관망세로 돌아섰다.
홍콩정부는 27일의 재정예산안 발표 전 서들러 새로운 부동산 안정 대책을 내놓았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인지세 세율을 높여 주택과 비주택 시장을 모두 ‘일망타진’한다는 계획이다.
200만홍콩달러 이하 거래의 인지세율은 100홍콩달러에서 거래액의 1.5%, 기타 거래의 인지세율은 4.25%에서 최고 8.5%로 상향 조정됐다.
홍콩 금융관리국 역시 상업용 부동산의 담보대출 상한을 10% 인하해 홍콩 주민의 담보대출은 50%에서 40%로 줄었다.
은행이 담보 대출을 위해 실시하는 모기지 상환 능력 스트레스 테스팅에 적용하는 상승폭을 2%에서 3%로 올리도록 했다.
존 창 홍콩 재정사장은 지난해 10월 인지세 강화 대책을 발표한 후 부동산 시장이 한동한 안정되기도 했지만 최근 또다시 ‘흥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새로운 대책 발표 배경을 설명했다.
올해 1월 주택가격은 2% 올랐고 2월에도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현재 전체 주택 가격은 2008년 저가 대비 120% 올랐다. 지난해 4분기 시민들의 대출상환부담비율이 52%에 달한다.
그는 현재 부동산 시장이 ‘매우 건강하지 못한 상태’라며 이자율이 3%로 인상되면 대출상환부담비율이 68%로 치솟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존 창 재정사장은 올해 미국 경제 추세가 나쁘지 않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당초 예상인 2015년보다 빨리 금리를 인상할 가증성이 있다며 미국이 일단 금리 인상 주기로 돌아가면 홍콩의 이자율 인상 역시 필연적이고 따라서 시민들의 대출상환비율부담도 영향을 받아 부동산 시장 파동으로 위한 리스크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정부가 새로운 대책을 통해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는 상업, 주차장 등 비주택 부동산도 포함된다.
존 창 재정사장은 이번 조치는 호텔 객실을 주거용으로 변칙 판매하려는 청쿵실업 논란과는 관계가 없다고 강조하고 현재 비주택 부동산 시장 역시 과열되고 있다며 지난해 비주택 부동산 시장 가격 역시 눈에 띄게 상승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점포 가격은 39%, 오피스 빌딩은 23%, 공업용 빌딩은 44% 상승했다. 거래량 역시 뚜렷이 증가했다.
존 창 재정사장은 이번 조치는 시민들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며 처음으로 부동산을 마련하거나 갈아타는 경우에는 면제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처음으로 주택을 구매하는 영구주민은 매매 계약 작성 시 기타 홍콩 주택이 없을 경우 기존의 인지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부동산을 ‘갈아타는’ 경우에는 2가지 방식이 있다. 첫 번째는 ‘先판매後구입’으로 이전 인지세율을 적용받고 두 번째는 ‘先구입後판매’로 우선 새로운 세율대로 세금을 내고 새로운 주택 구입 후 6개월 내 이전 주택을 판매하면 세무국에 차액 환불을 신청할 수 있다.
존 창 재정사장은 시장 상황에 지속적으로 주시해 필요에 따라 추가 대책을 시행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하고 BSD(주택 매수 인지세. Buyer's Stamp Duty. BSD)와 SSD(주택 전매 인지세. Special Stamp Duty)를 비주택 부동산에도 확대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한편 지난 주말 부동산 매매가 전주 대비 15% 감소했다고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부동산 중개업체 미드랜드홀딩스 보고를 인용해 보도했다.
홍콩 주택 가격 상승세가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고 오피스 빌딩 가격까지 들썩이는 가운데 홍콩정부는 또다시 새로운 부동산 대책을 기습적으로 발표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4개월 만에 또다시 부동산 억제 칼날을 빼든 홍콩정부는 200만홍콩달러 이상 주택 및 비주택 매매 인지세를 4.25%에서 최고 8.5%로 인상했다.
특히 상업용 건물의 가격 인상 광풍을 잠재우기 위해 담보대출 상한을 50%에서 40%로 낮추었다.
최초 부동산 구입자나 기존의 부동산을 팔고 다른 부동산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세율에서 면제된다.
예고도 없이 새로운 정부 대책이 발표된 22일 부동산 개발업체와, 중개업체, 부동산 구입 예정자들은 큰 혼란에 빠졌다.
새로운 부동산 대책이 발효되기 전 매매를 완료하기 위해 서두르거나 할인을 통해 계약을 작성하기도 했지만 투자자들의 50%는 시장에서 빠져나와 관망세로 돌아섰다.
홍콩정부는 27일의 재정예산안 발표 전 서들러 새로운 부동산 안정 대책을 내놓았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인지세 세율을 높여 주택과 비주택 시장을 모두 ‘일망타진’한다는 계획이다.
200만홍콩달러 이하 거래의 인지세율은 100홍콩달러에서 거래액의 1.5%, 기타 거래의 인지세율은 4.25%에서 최고 8.5%로 상향 조정됐다.
홍콩 금융관리국 역시 상업용 부동산의 담보대출 상한을 10% 인하해 홍콩 주민의 담보대출은 50%에서 40%로 줄었다.
은행이 담보 대출을 위해 실시하는 모기지 상환 능력 스트레스 테스팅에 적용하는 상승폭을 2%에서 3%로 올리도록 했다.
존 창 홍콩 재정사장은 지난해 10월 인지세 강화 대책을 발표한 후 부동산 시장이 한동한 안정되기도 했지만 최근 또다시 ‘흥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새로운 대책 발표 배경을 설명했다.
올해 1월 주택가격은 2% 올랐고 2월에도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현재 전체 주택 가격은 2008년 저가 대비 120% 올랐다. 지난해 4분기 시민들의 대출상환부담비율이 52%에 달한다.
그는 현재 부동산 시장이 ‘매우 건강하지 못한 상태’라며 이자율이 3%로 인상되면 대출상환부담비율이 68%로 치솟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존 창 재정사장은 올해 미국 경제 추세가 나쁘지 않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당초 예상인 2015년보다 빨리 금리를 인상할 가증성이 있다며 미국이 일단 금리 인상 주기로 돌아가면 홍콩의 이자율 인상 역시 필연적이고 따라서 시민들의 대출상환비율부담도 영향을 받아 부동산 시장 파동으로 위한 리스크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정부가 새로운 대책을 통해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는 상업, 주차장 등 비주택 부동산도 포함된다.
존 창 재정사장은 이번 조치는 호텔 객실을 주거용으로 변칙 판매하려는 청쿵실업 논란과는 관계가 없다고 강조하고 현재 비주택 부동산 시장 역시 과열되고 있다며 지난해 비주택 부동산 시장 가격 역시 눈에 띄게 상승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점포 가격은 39%, 오피스 빌딩은 23%, 공업용 빌딩은 44% 상승했다. 거래량 역시 뚜렷이 증가했다.
존 창 재정사장은 이번 조치는 시민들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며 처음으로 부동산을 마련하거나 갈아타는 경우에는 면제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처음으로 주택을 구매하는 영구주민은 매매 계약 작성 시 기타 홍콩 주택이 없을 경우 기존의 인지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부동산을 ‘갈아타는’ 경우에는 2가지 방식이 있다. 첫 번째는 ‘先판매後구입’으로 이전 인지세율을 적용받고 두 번째는 ‘先구입後판매’로 우선 새로운 세율대로 세금을 내고 새로운 주택 구입 후 6개월 내 이전 주택을 판매하면 세무국에 차액 환불을 신청할 수 있다.
존 창 재정사장은 시장 상황에 지속적으로 주시해 필요에 따라 추가 대책을 시행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하고 BSD(주택 매수 인지세. Buyer's Stamp Duty. BSD)와 SSD(주택 전매 인지세. Special Stamp Duty)를 비주택 부동산에도 확대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한편 지난 주말 부동산 매매가 전주 대비 15% 감소했다고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부동산 중개업체 미드랜드홀딩스 보고를 인용해 보도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